[Gems of Yunnan_CoE pilot program]
The 10th place winner, 云南来斤咖啡(Yúnnán lái jīn kāfēi)
1
윈난 바오산에서 보낸 이레 동안 나는 매일 아침저녁으로 구름을 구경했다. 누군가 구름을 보고 있으면 구름을 보고 있는 또 다른 사람들이 근처에 하나 둘 늘었다. 꼭 바다에 뜬 섬들처럼 사람들은 군데군데 서서 바오산 구름이 천천히 움직이는 광경을 바라보곤 했다. 윈난은 ’남쪽의 구름 많은 지역‘이라는 의미로 그 이름이 한나라 때 처음 지어졌다고, 구름을 보고 있는 사이에 옆에 다가 온 한 여성이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그는 중국 정부에서 파견나온 공무원으로 때때로 통역을 맡아 해 주었다.

중국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윈난은 북쪽으로 티베트, 남쪽으로 라오스, 미얀마와 접해 있다. 서북부 티베트에서 발원한 누장강은 윈난성으로 흘러들어 바오산을 거치고 이어 미얀마로 흐른다. 우리는 바오산 곳곳에서 멀리 누장강이 흐르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강이 보일 때마다 지역 사람들은 우리에게 ’저기봐, 누장강이야‘라 말해 주었기 때문이다. 멀리서 바라본 누장강 색은 파랗거나 초록이기보다는 잿빛에 가까웠고 군데군데 물보라가 이는 듯한 지점마다 햐얀 색이 약간 솟아 오른 것처럼 보였다. 나는 강물이 흐르는 모습은 꽤 오랜 시간도 마다하지 않고 지켜볼 수 있다. 먼 발치에서도 누장강은 자신이 흘러가는 방향 혹은 그 시작에 대해 나로 하여금 상상하게 했다.
2
주최측 설명에 따르면 윈난은 중국 내 커피 생산량의 98%를 담당하는 지역이다. 2023년 생산량은 143,400톤에 달하여 세계 13위를 차지했다. 윈난은 중국 커피 산업의 핵심 생산지로 중국 정부는 윈난 지역 커피 산업 발전에 필요한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많은 인력과 자본을 투입하고 있다. 특히 바오산 지역은 고급 차(Tea) 뿐만 아니라 고품질 스페셜티 커피 산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오랜 기간 준비해 왔다. 이번에 개최된 컵 오브 엑설런스 대회 파일럿 프로그램은 그 첫 결실이기도 하여 행사 두 달여 전에 시진핑 주석이 직접 바오산에 방문하여 커피 생산자들을 격려했다. 윈난성 내에는 바오산 외에도 린창, 더훙과 같은 커피 생산지가 있다. 
3
이 커피는 2025 첫 Gems of Yunnan(CoE 파일럿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국제 심사위원단이 공동 비딩하여 낙찰에 성공한 커피다. 내셔널 라운드를 거치고 인터내셔널 무대로 올라와 1라운드, 2라운드에서 높은 성적을 받아 TOP 10 파이널에 올랐고 10위를 수상했다. 품종은 YUNKA No2로 허니 가공으로 완성된 커피다. YUNKA No2는 윈남 지역에서 육성하고 있는 품종으로 티피카와 버본의 교배종이라 들었는데 버본에 좀더 가까워 보였다. 커핑했을 때 열대 과일 같은 향미에 사탕수수 같은 진한 단향이 균형감 있었다. 촉감은 도톰하고 둥글었다. 이 커피는 인터내셔널 심사 파이널에서 최종 87,74점을 얻었다.

Gems of Yunnan 심사에 참여하기 전까지, 나는 윈난 커피하면 ’가공에 의한, 약간 인공적이고 강렬하며 다소 단조롭고 지루한 커피‘ 아니면 ’곡물 같은 커피‘일거라는 치우친 인식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내가 경험한 커피들은 기대 이상이었다. 옥션을 거쳐야 했으므로 이번에 경험한 모든 커피를 소개하지 못하지만 행운의 선물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낙찰을 통해 云南来斤咖啡(Yúnnán lái jīn kāfēi)커피를 한국에 소개할 수 있게 되어 무척 기쁘다. 커피를 드시는 분께, 중국 윈난 첫 Gems of Yunnan_CoE pilot program 커피를 맛보는 작은 재미 혹은 의미 있는 경험이 되어 드리길 바란다.
[Gems of Yunnan_CoE pilot program]
The 10th place winner, 云南来斤咖啡(Yúnnán lái jīn kāfēi)
1
윈난 바오산에서 보낸 이레 동안 나는 매일 아침저녁으로 구름을 구경했다. 누군가 구름을 보고 있으면 구름을 보고 있는 또 다른 사람들이 근처에 하나 둘 늘었다. 꼭 바다에 뜬 섬들처럼 사람들은 군데군데 서서 바오산 구름이 천천히 움직이는 광경을 바라보곤 했다. 윈난은 ’남쪽의 구름 많은 지역‘이라는 의미로 그 이름이 한나라 때 처음 지어졌다고, 구름을 보고 있는 사이에 옆에 다가 온 한 여성이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그는 중국 정부에서 파견나온 공무원으로 때때로 통역을 맡아 해 주었다.
중국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윈난은 북쪽으로 티베트, 남쪽으로 라오스, 미얀마와 접해 있다. 서북부 티베트에서 발원한 누장강은 윈난성으로 흘러들어 바오산을 거치고 이어 미얀마로 흐른다. 우리는 바오산 곳곳에서 멀리 누장강이 흐르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강이 보일 때마다 지역 사람들은 우리에게 ’저기봐, 누장강이야‘라 말해 주었기 때문이다. 멀리서 바라본 누장강 색은 파랗거나 초록이기보다는 잿빛에 가까웠고 군데군데 물보라가 이는 듯한 지점마다 햐얀 색이 약간 솟아 오른 것처럼 보였다. 나는 강물이 흐르는 모습은 꽤 오랜 시간도 마다하지 않고 지켜볼 수 있다. 먼 발치에서도 누장강은 자신이 흘러가는 방향 혹은 그 시작에 대해 나로 하여금 상상하게 했다.
2
주최측 설명에 따르면 윈난은 중국 내 커피 생산량의 98%를 담당하는 지역이다. 2023년 생산량은 143,400톤에 달하여 세계 13위를 차지했다. 윈난은 중국 커피 산업의 핵심 생산지로 중국 정부는 윈난 지역 커피 산업 발전에 필요한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많은 인력과 자본을 투입하고 있다. 특히 바오산 지역은 고급 차(Tea) 뿐만 아니라 고품질 스페셜티 커피 산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오랜 기간 준비해 왔다. 이번에 개최된 컵 오브 엑설런스 대회 파일럿 프로그램은 그 첫 결실이기도 하여 행사 두 달여 전에 시진핑 주석이 직접 바오산에 방문하여 커피 생산자들을 격려했다. 윈난성 내에는 바오산 외에도 린창, 더훙과 같은 커피 생산지가 있다.
3
이 커피는 2025 첫 Gems of Yunnan(CoE 파일럿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국제 심사위원단이 공동 비딩하여 낙찰에 성공한 커피다. 내셔널 라운드를 거치고 인터내셔널 무대로 올라와 1라운드, 2라운드에서 높은 성적을 받아 TOP 10 파이널에 올랐고 10위를 수상했다. 품종은 YUNKA No2로 허니 가공으로 완성된 커피다. YUNKA No2는 윈남 지역에서 육성하고 있는 품종으로 티피카와 버본의 교배종이라 들었는데 버본에 좀더 가까워 보였다. 커핑했을 때 열대 과일 같은 향미에 사탕수수 같은 진한 단향이 균형감 있었다. 촉감은 도톰하고 둥글었다. 이 커피는 인터내셔널 심사 파이널에서 최종 87,74점을 얻었다.
Gems of Yunnan 심사에 참여하기 전까지, 나는 윈난 커피하면 ’가공에 의한, 약간 인공적이고 강렬하며 다소 단조롭고 지루한 커피‘ 아니면 ’곡물 같은 커피‘일거라는 치우친 인식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내가 경험한 커피들은 기대 이상이었다. 옥션을 거쳐야 했으므로 이번에 경험한 모든 커피를 소개하지 못하지만 행운의 선물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낙찰을 통해 云南来斤咖啡(Yúnnán lái jīn kāfēi)커피를 한국에 소개할 수 있게 되어 무척 기쁘다. 커피를 드시는 분께, 중국 윈난 첫 Gems of Yunnan_CoE pilot program 커피를 맛보는 작은 재미 혹은 의미 있는 경험이 되어 드리길 바란다.